안녕하세요!
곰돌이연구소입니다.
오늘은 군인의 명예의 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윌리엄 카일 카펜터

2010년 11월 아프가니스탄 남부에서 경비 초소를 지키던 미군 해병대원 윌리엄 카일 카펜터 상병은 자신의 동료 닉 상병과 자신의 사이에 날아든 수류탄을 발견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지체 없이 훈련소 동료이자 자신의 가장 친한 친구은 닉을 보호하기 위해 수류탄을 자신의 몸으로 덮었습니다.
카펜터는 당시 자신과 동료가 폭발한 수류탄에 휩싸이던 순간을 대부분 기억하지 못했고 그는 크게 다쳐 자신의 몸에서 피가 흘러나올 때 따뜻한 물이 그의 몸을 감싸는 느낌이 들었든 것으로 회상했습니다.
부활

비록 끔찍한 상처가 남았지만, 그는 극적으로 살아남았습니다.
이날 폭발로 턱과 치아 대부분이 망가졌고, 오른쪽 폐가 손상됐었으며, 또 눈 한쪽은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약 40번의 수술도 받아야 했습니다.
미국의 의료진들은 3번이나 숨이 멈춘 카펜터 상병을 모든 수단을 동원해 다시 살려냈습니다.
그리고 다시 살아난 카펜터에게서 나온 첫마디는 "닉은 괜찮아?" 였다.
명예훈장(Medal of Honor)

미 백악관은 카펜터에게 군인 최고의 무공 훈장인명예훈장(Medal of Honor)을 수여했다.
Medal of Honor은 수백 년의 역사에서 단 3,000여 명의 군인에게만 수여된 최고 훈장입니다.
카펜터는 훈장 수여식에서 "함께 돌아오지 못한 병사들이 있어서 이 메달을 받고 주목받는 게 힘들다"면서도
"이 상으로 아프가니스탄에서 다치고 숨진 다른 병사들에게 관심을 돌릴 수 있어서 기쁘다"라고 소감을 전했습니다.
이것이 미국인들이 군인을 대우해 주고 존경해하는 방법일 것입니다.
우리나라도 장병들의 노고와 희생정신을 존중해 주고 감사해하는 나라가 되었으면 합니다.
👉 Semper Fi (언제나 충성을)
그럼 다음에 만나요!
지금까지 곰돌이연구소였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면’ 윤석열, 승복도 사과도 없었다, 김건희와 관저 떠날 시기도 불투명 (2) | 2025.04.05 |
---|---|
선진국 반열에 올랐지만, ‘행복도’는 여전히 낮은 한국 (1) | 2025.02.27 |